선성군파 현조약기에는 총 79건의 인물자료가 존재합니다.

익로(翼老) 1608∼1663    파명:선성군(宣城君)
  자는 덕수(德첤), 호는 무언옹(無言翁). 선성군의 7대손이고 노저 양원의 증손이며 기린도찰방 홍광의 아들이다. 공의 동생에 진사 영로(榮老)가 있어 그 후손이 충남 아산에서 번창하였다.
 1639년(인조 17) 진사, 1644년(인조 22)에 처음으로 벼슬자리를 얻었다. 1647년(인조 25) 장악원 정(正)으로서 음율을 정확히 해득할 수 있었기 때문에 악기도감의 감조관(監造官)을 겸하였다. 그래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양난으로 없어지고 파괴된 종묘의 예악기를 완전히 개수, 완성하였다. 지금의 종묘대제 때 묘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악기가 바로 공이 감조한 것이다.
 1649년 인조대왕이 승하하자 공이 국장도감 낭청을 겸임하여 지석을 감수하던 중 지석문 중에 `순치(順治)\'라는 청국 연호를 사용한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공은 도감당상에게 “지석은 한 번 써 넣으면 영원히 남는 중대한 일인데 어찌 적국 연호를 사용한단 말인가.”하고 역설하였다. 공의 항의에 따라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이 임금에게 재가를 받아서 결국 적국 연호를 삭제했다.
 그 해 겨울 개령현감을 제수받고 부임했을 때 이곳에 도적이 기승을 부리는 고로 즉시 엄하게 다스렸다. 그러나 원래 이 도적들은 이 지방에서 세력이 드센 자들이었다. 이들이 관찰사에게 중상모략하여 도리어 공이 해남으로 유배되는 등 전후 6년간을 귀양살이를 하는 고역을 겪었다. 1655년(효종 6) 풀려나와 1659년(효종 10) 순안현령으로 서임받고 1660년(현종 1)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직강으로 승진되었다.
 묘소는 노량진 선영에 있었으나 선고 · 조부와 같이 충남 당진군 대호지면 송전리로 이장되었다.
익서(益瑞) 1678∼1729    파명:선성군(宣城君)
  자는 운경(雲卿), 호는 춘헌(春軒). 선성군의 7대손이며 체소재의 증손이고 만장의 아들이다. 관직이 조산대부 의금부도사 · 통훈대부 행 이원현감 겸 북청진관병마절제사에 이르렀다.
정재(正在) 1803∼1873    파명:선성군(宣城君)
  자는 사고(士固), 선성군의 12대손 해종(海宗)의 아들이다.
 1865년(고종 2) 증광 생원이 되고 관직은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겸 오위장에 이르렀다.
제운(濟運) 1582∼1625    파명:선성군(宣城君)
  자는 응휴(應休). 선성군의 6대손이고 준도의 장손이다.
 1606년(선조 39)에 증광시에서 진사가 되었고 1612년(광해군 4)에 처음으로 벼슬자리에 나아갔다. 통훈대부 장흥고 봉사에 이르렀다.
종영(宗榮) 1723∼1781    파명:선성군(宣城君)
  자는 인길(仁吉), 호는 청탄(聽灘). 선성군의 11대손이고 노저 양원의 7대손이고 발형(發馨 : 1697∼1754)의 아들이다.
 동생 방영(邦榮)과 1759년(영조 35) 식년시 문과에 나란히 급제했다. 관직은 사헌부의 집의에 이르고 증직으로 가선대부 예조참판에 이르렀다. 아들로는 주철(周喆), 주석(周奭), 주섭(周燮), 주환(周?) 그리고 주흡(周翕)이 있다.
 특기할 일은 1729년(영조 5)에 7대조인 영상 양원의 시호를 청한 일이다. 이 시장(諡狀)은 명재상 문숙공(文肅公) 번암(樊巖) 채제공(蔡濟恭)께서 찬하여 `문헌(文憲) 충간(忠簡) 문민(文敏)\'으로 왕에게 올렸으나 수망(首望)인 `문헌(文憲)\'으로 비하(批下)하였다.
주석(周奭) 1760∼1810    파명:선성군(宣城君)
  자는 성신(成臣), 선성군의 12대손이고 순국충신 시경의 7대손이며 방영이 양부이고 생부는 집의공 종영이다.
 1794년(정조 18) 정시 문과 병과에 급제하였다. 벼슬은 정언에 머물렀다. 아들은 항진(恒鎭 : 1799∼1863), 손자는 원조(源祖 : 1831∼1903)이다.
준도(遵道) 1532∼1584    파명:선성군(宣城君)
  자는 택중(擇中). 선성군의 4대손이며, 봉사손이다. 춘산도정(春山都正)의 증손이며 풍산부령(豊山副令)의 아들이다. 통정대부이다.
 1561년(명종 16) 생원 · 진사 양시에 합격하고 1564년(명종 19) 별시 문과 병과에 급제하였다.
 1568년(선조 1) 조모 승중상(承重喪)을 치른 후 구례에 따라 박사가 되고 1572년(선조 5) 평안평사 · 형조좌랑 · 함경도사를 거쳤다. 1576년(선조 9) 공조 · 예조정랑을 역임하고 봉산군수를 거쳐 1578년(선조 11) 창성부사(昌城府使)로 승진하였다. 그곳에서 정치를 잘 했으므로 임지에서 1년을 더 근무하다가 1581년(선조 14) 교체되어 성균관 전적으로 있었다. 이 후 대구도호부사로 임명되어 근무하다가 1584년(선조 17) 53세로 생을 마쳤다.
 선성군 묘역은 상후면에 묘가 있고 묘갈명은 월정(月汀) 윤근수(尹根壽 : 1537∼1616)가 지었으며 글씨는 남창(南窓) 김현성(金玄成 : 1542∼1621)이 썼다.
 공은 문장이 뛰어났고 율곡(栗谷) 이이(李珥)와 교우가 깊었으며 과거문제를 함께 주관했다. 어느날 과거시험장에서 두 분이 같이 있을 때 천도책(天道策)에 대한 문제가 출제되었다. 응시생들이 시험관에게 제목의 뜻을 묻자 시험관이 말하기를 “이율곡과 리준도가 지금 시험장에 있으니 그들에게 가서 물어보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응시생들이 앞을 다투어 찾아와 물어보느라고 대단히 혼잡하므로 공이 말하기를 “차라리 글로 한 장을 써서 보여주는 것이 좋지 않겠는가.” 하니 율곡이 그것이 좋겠다고 말하였다. 마침내 두 분이 각기 첫머리와 말미를 나누어 써서 글 한 장을 만들어 그들에게 보였다고 한다.
지긍(志兢) 1817∼1877    파명:선성군(宣城君)
  선성군의 21대손이다. 설성부정 철정의 손자 대안도정 노담(老聃)은 유인(由仁)과 유의(由義) 두 아들이 있다. 유인의 손자 순남(順男 : 1613∼1676)은 1639년(인조 17) 기묘별시 을과에 급제하고 통훈대부 송화(松禾) 현감이었다. 자는 이순(而順)이다.
 유의는 대안도정의 동생 풍덕감(豊德監)에게 입후하여 수사(水使)가 되었다. 유의의 6대손에 순남(舜南)이 있고 그 순남의 아들 삼룡(三龍)은 조령 중성 축조 때 수천금과 노역을 도와 공사를 마친 공으로 가선대부를 제수받고 성숙한 말 한 필과 어명으로 기로소에 들게 하였으며 가의대부로 품계를 올려 받았다.
 삼룡의 아들이 공신 진웅(震雄 : 1683∼1733)인데 이는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에 아들 조카를 끌고 육전을 감행한 공으로 양무원종공신에 봉해졌으며 녹권(錄券)을 하사받고 그의 자손들은 음관을 천거받는 특혜를 입게 되었다. 또한 공신 진웅의 증손 재동(在東 : 1759∼1835)도 가통을 이어받아 조령 삼성 수축 때의 공으로 특별히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를 하사받았다. 재동의 아들이 장배(長培 : 1789∼1850)이며 장배의 아들로는 6명이 있었다. 그 가운데 다섯째인 지긍은 조령란 때 괴수 필제(弼濟)와 옥현(玉絃)을 잡아들인 공으로 절충장군 겸 오위장에 제수되었다.
지백(知白) 1606∼1676    파명:선성군(宣城君)
  자는 계현(契玄), 호는 금화(金華). 영의정 홍주의 손자이고 헌방의 아들이다. 선성군의 8대손. 1652년(효종 3)에 문과급제하고 누전군수를 지냈다.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었다. 저서로는 <금화문집(金華文集)> 1권이 전해지고 있다. 아들은 손(?) · 제(濟) · 수(?) · 일(溢) · 유(洧) 5형제가 있다.
지형(趾馨) 1726∼1799    파명:선성군(宣城君)
  자는 계린(季麟), 호는 학오당(學鰲堂). 선성군의 10대손이고 노저 양원의 6대손이다.
 1779년(정조 3)에 회인현감을 배수받았으며 관직은 통훈대부 사도시 첨정에 이르렀다.
 효성이 지극하여 생부댁 · 양가댁의 노친들이 항상 병환을 앓고 있을 때는 안성 · 괴산 · 해미를 멀다 않고 약시중을 하였으며 약숟가락인 도규를 품에서 멀리하지 않을 정도였다. 1773년에 대신이 연주(筵奏)하고 상언으로 노저상공(鷺渚相公) 양원의 사손(祀孫)으로 명을 받아 12대손 응길이 신주를 모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