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해군파 현조약기에는 총 40건의 인물자료가 존재합니다.

조묵(祖默) 1792∼1840    파명:영해군(寧海君)
  조묵(祖默) [1792(정조 16)∼1840(현종 6)]
 자는 사수(士守), 호는 육교(六橋). 이암공 병정(秉鼎)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정경부인 풍양조씨이며, 영해군파 13대손이다.
 학문이 깊어 시는 당나라 옥계(玉溪) 이상은(李商隱)을, 글씨는 진나라 산음(山陰) 왕희지(王羲之)를, 그림은 원나라 대치(大痴) 황공망(黃公望)을 배웠고 금석학의 고증에도 조예가 깊었다. 청나라 담계(潭溪) 옹방강(翁方綱)을 만났을 때 시서화가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이란 평가를 받았다. 소동파(蘇東坡)의 <천제오운도(天際五雲圖)> 그림을 선사받았기 때문에 서재 이름을 보소재(寶蘇齋)라 일컬었으며 당나라 한간(韓幹)의 <단림노옥도(丹林老屋圖)>를 비롯하여 여러가지 귀한 고서화 수집에서도 당대에 으뜸이었다. 평생 고사전(高士傳)의 모범이 되어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육교고략(六橋稿略)> 6권이 있다.
 묘소는 충남 보령시 주산면 창암리 남전 산31의 6에 있다.
창급(昌伋) 1727∼1803    파명:영해군(寧海君)
창수(昌壽) 1710∼1777    파명:영해군(寧海君)
창유(昌儒) 1713∼1779    파명:영해군(寧海君)
창의(昌誼) 1704∼1772    파명:영해군(寧海君)
창임(昌任) 1730∼1775    파명:영해군(寧海君)
창현(昌顯) 1723∼1792    파명:영해군(寧海君)
춘제(春躋) 1692∼1761    파명:영해군(寧海君)
형기(炯器) 1884∼1936    파명:영해군(寧海君)
형렬(亨烈) 1819∼1839    파명:영해군(寧海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