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장사공파 현조약기에는 총 18건의 인물자료가 존재합니다.

권계(卷桂) 1334∼1418    파명:평장사공(平章事公)
  자는 휘성(輝星), 호는 덕은(德隱), 시호는 문정(文靖). 개성 출신으로 평장사공의 6대손이다.
 천성이 총명하고 재질이 출중하였고 어릴 때부터 학문을 익혀 도학(道學)이나 문필이 남보다 우뚝 뛰어났다. 1353년(공민왕 2) 도백(道伯)의 천거로 문하시중에 발탁되고 또 이듬해 국사(國師)에 천거되었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으니 세상에서 청렴결백하다 일컬었다. 조선 태조고황제가 그 고장에 있는 종족의 수와 화목한지의 여부를 묻고 같이 즐기다가 헤어졌다. 그후 태조고황제가 즉위하고 잔치를 베풀어 종중사람을 만나보았는데 그 때 그는 백의로 입시했다가 예조판서에 제수되었다. 이 때 백의로 벼슬을 받는 자가 무릇 17명이나 되었다.
 1394년(태조 3) 종부시 도제조의 벼슬을 그만두고 표연히 지리산 반야봉으로 들어가 산수를 즐기며 후진양성에 힘썼다. 공은 85세로 1418년(태종 18)에 세상을 뜨자 태종대왕이 심히 애도하고 예장을 명하고 `문정(文靖)\'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배위는 정부인(貞夫人)은 판도정랑(版圖定郞) 경주최씨 서인(瑞人)의 딸이다.
몽제(蒙濟) 1837∼ 1908    파명:평장사공(平章事公)
선미(善味) 1278∼1340    파명:평장사공(平章事公)
수우(守宇) 1484∼1543    파명:평장사공(平章事公)
수주(守宙) 1487∼1554    파명:평장사공(平章事公)
식(軾) 1395∼1470    파명:평장사공(平章事公)
안인(安仁) 1218∼1263    파명:평장사공(平章事公)
양익(陽翼) 1198 ∼1272    파명:평장사공(平章事公)
영욱(永昱) 1311∼1350    파명:평장사공(平章事公)
원정(元貞) 1466∼1535    파명:평장사공(平章事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