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평대군파 4세 약사에는 총 7건의 인물자료가 존재합니다.
곤명군(昆明君) 1471∼1504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
휘는 영(濚), 자는 담수(淡첤). 대군의 증손이며 남천군(南川君)의 아들이다. 공은 대군의 부인인 영가부부인(永嘉府夫人)의 각별한 사랑을 받아 부인이 안아 키웠다.
1485년(성종 16) 곤명부정(昆明副正)의 봉작을 받고, 1495년(연산군 1) 명선대부로 승계하였다. 공은 천품이 맑고 밝으며 도량이 넓고 효성이 지극하고 형제간의 우애가 돈독하며 대인접물(待人接物)에 있어 정성을 다하고 노복에게까지 위엄과 분노를 가하는 일이 없고, 곤궁한 사람 외로운 사람들을 돌보아 주고, 귀하게 자랐으되 호화로운 생활을 아니 하고 진실한 행동으로 모든 이에게 모범이 되었다. 학문을 좋아하여 문장 솜씨가 뛰어났고, 글씨는 왕희지(王羲之 : 307∼365)의 필법을 익히고 화법(畵法)도 오묘하여 특히 난죽(蘭竹)은 진경(眞境)에 이르렀다. 당시의 종실의 문명(文名)이 높은 계성군(桂城君) · 화산군(花山君) · 길안정(吉安正) 등과 망형회(忘形會)를 만들어 시부(詩賦)와 주가(酒歌)로써 즐기니 당대의 문사들이 부러워하여 다투어 교유하였다. 공이 금강산을 탐승하고 <관동행록(關東行錄)> 1권을 지었고 또한 <시부록(詩賦錄)> 1권의 유고를 남기었는데 아깝게도 임진왜란 때 병화로 소실되었다.
1504년(연산군 10) 10월에 예궐하다가 갑자기 병이 나 위독하자 “내가 지금 부모가 구존하신데 이렇듯 병세가 심하니 자식으로서 아주 불효가 되는지라 죽어도 차마 눈을 감지 못하겠노라.” 하고 마침내 11월 21일 별세하니 34세였다. 다음 해 2월 서울시 강남구 수서동 광수산 갑좌에 예장하였다.
1485년(성종 16) 곤명부정(昆明副正)의 봉작을 받고, 1495년(연산군 1) 명선대부로 승계하였다. 공은 천품이 맑고 밝으며 도량이 넓고 효성이 지극하고 형제간의 우애가 돈독하며 대인접물(待人接物)에 있어 정성을 다하고 노복에게까지 위엄과 분노를 가하는 일이 없고, 곤궁한 사람 외로운 사람들을 돌보아 주고, 귀하게 자랐으되 호화로운 생활을 아니 하고 진실한 행동으로 모든 이에게 모범이 되었다. 학문을 좋아하여 문장 솜씨가 뛰어났고, 글씨는 왕희지(王羲之 : 307∼365)의 필법을 익히고 화법(畵法)도 오묘하여 특히 난죽(蘭竹)은 진경(眞境)에 이르렀다. 당시의 종실의 문명(文名)이 높은 계성군(桂城君) · 화산군(花山君) · 길안정(吉安正) 등과 망형회(忘形會)를 만들어 시부(詩賦)와 주가(酒歌)로써 즐기니 당대의 문사들이 부러워하여 다투어 교유하였다. 공이 금강산을 탐승하고 <관동행록(關東行錄)> 1권을 지었고 또한 <시부록(詩賦錄)> 1권의 유고를 남기었는데 아깝게도 임진왜란 때 병화로 소실되었다.
1504년(연산군 10) 10월에 예궐하다가 갑자기 병이 나 위독하자 “내가 지금 부모가 구존하신데 이렇듯 병세가 심하니 자식으로서 아주 불효가 되는지라 죽어도 차마 눈을 감지 못하겠노라.” 하고 마침내 11월 21일 별세하니 34세였다. 다음 해 2월 서울시 강남구 수서동 광수산 갑좌에 예장하였다.
광평대군(廣平大君) 1425∼1444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
남천군(南川君) 1458∼1519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
무안대군(撫安大君) 1381∼1398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
영순군(永順君) 1444~1470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
청안군(淸安君) 1462∼1495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
회원군(會原君) 1464∼1493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