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녕대군파 4세 약사에는 총 2건의 인물자료가 존재합니다.

가은군(加恩君) 1453∼1506    파명:성녕대군(誠寧大君)
  휘는 빈(퓛), 자는 계빈(季彬). 대군의 손자이며 원천군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조씨(趙氏)로서 첨지 지당(之唐)의 딸이다.
 효령대군이 특히 사랑하여 늘 곁에서 떠나지 못하게 하였다. 또 효령대군을 따라 궁중에 들어가 임금을 뵈올 때도 특별히 대군 곁에 앉기를 허락하여 주위에선 달리 여기었다.
 국법은 종실의 나이가 15세가 되어야 직책이 주어지는데 1465년(세조 11) 공의 나이 13세에 특별히 가은감(加恩監)을 제수하고 품계는 창선대부에 이르렀다. 1467년(세조 13) 세조대왕이 명선대부를 하사했고 품계는 가은도정(加恩都正)에 이르렀다. 1476년(성종 7)에 세조대왕비 정희왕후가 승하하자 마침내 대직언(代直言)에 선택되었는데, 공이 그 나이가 어렸는데도 성종대왕은 특별히 연제관(練祭官)을 삼아서 품계를 정의대부로 높이고 가은군(加恩君)으로 봉하였다. 또한 부묘(정희왕후를 종묘에 모심)할 때 중의대부로 올랐다.
 공이 일찍 아버지인 원천군을 여의고 할아버지 효령대군의 따뜻한 가르침을 받아 스승을 구하여 학문을 닦았다. 공은 순후하고 근실하고 말이 적으며 검소했으며 활쏘는 것을 잘하였다. 대군과 함께 활을 쏘아 여러 번 명중하여 상금을 많이 탔다. 효령대군이 90세가 넘음에 공에게 관아에서 제사를 주관할 것을 명하여 공은 명을 받들어 더욱 근신하였다. 1486년(성종 17) 효령대군이 별세하자 공은 매우 슬퍼했으며 1503년(연산군 9)에 어머니가 별세하자 아버지 때와 같이 정성을 다하였다. 1505년(연산군 11) 익명옥(匿名獄)이 일어났다. 연산군의 체포령이 있을 때 또한 체포되었으나 말하는 기개가 성실하므로 구금은 면하였으나 병을 얻어 이듬해 2월 19일에 향년 54세로 별세하였다.
 배위는 운봉박씨 선공부정(繕工副正) 귀손(貴孫)의 딸이며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 종우(從愚)의 손녀이다. 1495년(연산군 1) 6월 18일 향년 42세로 별세하였다. 양주의 정좌계향(丁坐癸向)에 장사지냈으며 부인이 8남 3녀를 두었고 측실에서도 3남을 두어 모두 11남 3녀이다.
 
성녕대군(誠寧大君) 1405∼1418    파명:성녕대군(誠寧大君)